우선 이 포스트는
https://webnautes.tistory.com/448
위의 포스트를 참고로 작성하였다.
http://releases.ubuntu.com/16.04/
위의 링크를 통해 64bit의 desktop image download
그리고 윈도우에서 2개의 OS가 실행될 수 있도록 아래 링크에서 VirtualBox를 다운로드 해준다.
다운로드 완료 후 아래와 같이 실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상단부에 파란색 멍게같이 생긴 "새로 만들기" 를 클릭한 후 아래와 같이
설치할 우분투의 이름을 "이름" 부분에 작성하여 준다.
메모리(RAM)은 2G 정도로 지정해준다.
"지금 새 가상 하드 디스크 만들기" 를 진행하도록 한다.
그 다음 화면에서 "VDI" 를 선택하여 진행하도록 한다.
VHD는 마이크로소프트의 가상하드 디스크 기본 파일 포맷이며
VMDK는 VMware 의 가상하드 디스크 기본 파일 포맷이라고 한다.
다음 화면에서 하드 드라이브를 동적으로 할당할지, 고정된 크기로 할당할지 정하게 된다.
속도를 생각하면 "고정크기", 향후 디스크용량에 대하여 변경할 필요가 있을 것 같으면 "동적할당" 선택
그리고 나는 10GB의 크기로 설정하여 고정크기로 생성해 주었다.
마지막으로 "설정" 탭의 "고급" 으로 들어가 아래와 같이 "클립보드 공유" 와 "드래그 앤 드롭"을 양방향으로 설정하여 준다.
그리고 다시 "설정" 탭의 "시스템" 부분에서 아래와 같이 설정하여 준다.
부팅 순서에서 플로피디스크와 광디스크는 사용하지 않을 것 이므로 체크를 해제해주었다.
"프로세서"탭으로 이동하여 사용할 CPU의 갯수를 지정하여주고 실행제한을 설정하여 준다.
"가속"탭을 통해 그래픽 부분을 설정하여 준다.
이제 "저장소" 탭을 이용하여 CD모양의 + 아이콘을 클릭하여 주고 다운받은 우분투의 ISO이미지를 삽입.
그리고 "오디오" 탭의 오디오 입력 사용하기 를 체크하여 준다.
그럼 이제 "시작"을 눌러주도록 하자.
'Ubuntu' 카테고리의 다른 글
ubuntu에서 opencv를 이용한 Lena출력 (0) | 2020.04.02 |
---|---|
가상머신(VM VirtualBox)의 우분투에서 와이파이 설정 (1) | 2020.02.05 |
Ubuntu에서 c++ 을 이용하여 "Hello World!" 출력 (0) | 2020.01.13 |
터미널 창 분할 (0) | 2020.01.13 |
Ubuntu 에서 C를 이용하여 "Hello World!" 출력 (0) | 2020.01.13 |